우리나라의 FTA

홈 > FTA 추진현황 > 우리나라의 FTA
발효(18건)
상대국 추진현황 의의
칠레 1999년 12월 협상 개시
2003년 2월 서명
2004년 4월 발효
최초의 FTA,
중남미 시장 교두보
싱가포르 2004년 1월 협상 개시
2005년 8월 서명
2006년 3월 발효
ASEAN 시장 교두보
EFTA
(4개국)
2005년 1월 협상 개시
2005년 12월 서명
2006년 9월 발효
*EFTA: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유럽시장 교두보
ASEAN
(10개국)
2005년 2월 협상 개시
2006년 8월 상품무역협정 서명
2007년 6월 상품무역협정 발효
2007년 11월 서비스협정 서명
2009년 5월 서비스협정 발효
2009년 6월 투자협정 서명
2009년 9월 투자협정 발효
*ASEAN: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태국
거대경제권과 체결한
최초의 FTA
인도
CEPA
2006년 3월 협상 개시
2009년 8월 서명
2010년 1월 발효
BRICs국가, 거대시장
EU
(27개국)
2007년 5월 협상 개시
2010년 10월 6일 서명
2011년 7월 1일 잠정발효
2015년 12월 13일 전체발효(2011.7.1 이래 만 4년 5개월 간 잠정적용)
*EU: 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 키프로스, 덴마크, 에스토니아,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아일랜드, 이탈리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 몰타, 네덜란드, 폴란드, 포르투갈,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웨덴, 불가리아,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거대 선진경제권
페루 2009년 3월 협상 개시
2011년 3월 21일 서명
2011년 8월 1일 발효
자원부국,
중남미 진출 교두보
미국 2006년 6월 협상 개시
2007년 6월 서명
2012년 3월 15일 발효
2018년 1월 개정협상 개시
2018년 9월 24일 개정협상 서명
2019년 1월 1일 개정의정서 발효
세계 최대경제권
(GDP기준)
터키 2010년 4월 협상 개시
2012년 8월 1일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 서명
2013년 5월 1일 기본협정 및 상품무역협정 발효
2015년 2월 26일 서비스∙투자협정 서명
2018년 8월 1일 서비스∙투자협정 발효
유럽∙중앙아 진출 교두보
호주 2009년 5월 협상 개시
2014년 4월 8일 서명
2014년 12월 12일 발효
자원부국,
오세아니아 주요시장
캐나다 2005년 7월 협상 개시
2014년 9월 23일 서명
2015년 1월 1일 발효
북미 선진시장
중국 2012년 5월 협상 개시
2015년 6월 1일 서명
2015년 12월 20일 발효
우리의 제1위 교역대상
('19년 기준)
뉴질랜드 2009년 6월 협상 개시
2015년 3월 23일 서명
2015년 12월 20일 발효
오세아니아 주요시장
베트남 2012년 8월 협상 개시
2015년 5월 5일 서명
2015년 12월 20일 발효
우리의 제5위 투자대상국
('19년 기준)
콜롬비아 2009년 12월 협상 개시
2013년 2월 21일 서명
2016년 7월 15일 발효
자원부국,
중남미 신흥시장
중미
(5개국)
2015년 6월 협상 개시
2018년 2월 21일 서명
2019년 10월 1일 부분 발효
*('19.10.1)니카라과, 온두라스, ('19.11.1)코스타리카, ('20.1.1)엘살바도르 발효
2021년 3월 1일 전체 발효
*중미: 파나마, 코스타리카,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니카라과
중미 신시장 창출
영국 2016년 12월 한-영 무역작업반* 발족
*브렉시트 이후 한-영 통상관계 정립을 위한 논의의 장
2017년 2월~2019년 5월 총 7차례 한-영 FTA 무역작업반 개최
2019년 8월 22일 정식서명
2019년 10월 28일 국회 본회의 통과
2021년 1월 1일 발효
브렉시트 이후 한영
통상관계 지속
RCEP
(15개국)
2012년 11월 20일 협상개시선언
2013년 5월~2020년 7월 31차례 공식협상 개최
2019년 11월 4일 15개국 협정문 타결
2020년 11월 15일 RCEP 서명
2022년 2월 1일 발효
*RCEP: 한국, 아세안10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동아시아 경제통합 기여
서명/타결(4건)
상대국 추진현황 의의
인도네시아
CEPA
2019년 2월 19일 협상재개선언
2012년 7월~2019년 10월 총 10차례 협상 개최
2019년 11월 25일 협상 타결 선언
2020년 12월 18일 정식서명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 기여
이스라엘 2016년 5월 협상 개시
2016년 6월~2018년 3월 총 6차례 공식협상 개최
2019년 8월 21일 협상 타결 공동선언
2021년 5월 12일 서명
창업국가 성장모델
캄보디아 2020년 7월 협상개시선언
2020년 7월~2020년 11월 4차례 협상 개최
2021년 2월 3일 협상 타결 공동선언
2021년 10월 26일 서명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
필리핀 2019년 6월 협상개시
2019년 6월~2020년 1월 5차례 협상 개최
2021년 10월 26일 타결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 기여
협상진행(10건)
상대국 추진현황 의의
한∙중∙일 2012년 11월 20일 협상개시선언
2013년 3월~2019년 11월 16차례 공식협상 개최
2014년 11월~2016년4월 5차례 실무협상 개최
동북아 경제통합 기반 마련
MERCOSUR TA
(4개국)
2018년 5월 협상개시선언
2018년 9월~2021년 8월 총7차례 공식협상 개최
*회원국 자격 정지 상태인 베네수엘라 제외, 4개국과 진행
*MERCOSUR: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남미 최대시장
러시아 2019년 6월 서비스·투자 FTA 협상개시선언
2019년 6월~2020년 7월 5차례 협상 개최
신북방 정책추진,
거대신흥시장
말레이시아 2019년 6월 협상개시선언
2019년 7월~2019년 9월 3차례 협상 개최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 기여
한∙ASEAN FTA
추가자유화
2008년 1월~2021년 7월 18차례 이행위원회 개최 교역확대,
통상환경 변화 반영
한∙인도 CEPA
업그레이드
2016년 10월~2019년 6월 8차례 개선협상 개최 주력 수출품목양허·원산지기준 개선
한∙칠레 FTA
업그레이드
2018년 11월~2021년 10월 6차례 개선협상 개최 통상환경 변화 반영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 협상
2018년 3월~2020년 10월 9차례 서비스 투자 후속협상 개최 우리의 제1위 서비스수출국
에콰도르
SECA
2015년 8월 25일 협상개시선언
2016년 1월~2016년 11월 총 5차례 협상 개최
자원부국,
중남미 시장 진출 교두보
우즈베키스탄
STEP
2021년 1월 28일 협상개시선언
2021년 4월~2021년 11월 2차례 협상 개최
중앙아 최대시장
재개, 개시, 여건조성(2건)
상대국 추진현황 의의
PA
(4개국)
2018년 5월 국회보고
2019년 9월 PA ToR협의개시
*PA: 멕시코, 페루, 콜롬비아, 칠레
중남미 신흥 시장
EAEU
(5개국)
2016년 10월~2017년 4월 3차례 한·EAEU 정부간 협의회 개최
2017년 9월 한-러 정상회담 계기, FTA 협의를 위한 공동 실무 작업반 설치 합의
*EAEU: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즈스탄
신북방정책 교두보 확보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자유무역협정 FTA]